전국

‘지리산 대화엄사’ 키워드, 이미지 미디어 노출효과 분석

수도일보 2024. 1. 10. 13:59

노출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78% 성장
2021년 37억, 2022년 46억 1천만원

대한불교조계종 19교구 본사 지리산대화엄사 주지 덕문스님은 화엄사 홍보기획위원회, 광주 BBS 불교방송, 동국대학교 WISE 캠퍼스 불교사회문화연구원 석길암 교수와 공동으로 “2023년 지리산 대화엄사 키워드와 이미지의 미디어 노출효과에 대한 경제적가치를 분석하여 발표하였다.
 
2023년 지리산 대화엄사 키워드는 언론사 뉴스(공중파, 종편), TV 뉴스, 문화 프로그램(공중파, 종편), 인터넷 포털사이트(네이버, 다음, 구글), 기타 유투브, 파워블로그에 노출된 지리산 대화엄사와 이미지 조사하였다. 지리산 대화엄사의 키워드와 이미지 도출은 CPTCost Per Mille) 공식을 사용하여 노출시간(visibility)과 광고비 단가(advertising rates), 시청자수(audience persons) 등을 이용하였다.
 
지리산 대화엄사 키워드와 이미지 미디어 노출 효과에 대한 경제적가치 분석 결과는 총 8226백만원으로 나타났다. 2021 37, 2022 46 1천만원, 2023년 보다 78%의 증가 효과 노출을 가져 왔다. 세부적으로는 홍매화 사진찍기대회 23 4 5백만원, 세계요가의날 기념 화엄사 요가대회 11 2 3백만원, 모기장영화음악회 11 9 2 5십만원, 화엄문화재 7 7백만원으로 노출 효과를 얻었으며, 기타 비건버거, 홍보대사 등으로 28 5 8 5십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체 분류별로 포탈뉴스 노출로 58 9 2백만원, TV 방송 노출로 22 2천만원, 기타 매체 노출로 1 1 4백만원으로 나타났다.
    
화엄사주지 덕문스님은 화엄사는 구례군민과 마산면민을 떠나서는 화엄사의 존재가치가 없다고 하였다.” “특히 화엄사는 종교를 넘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소통을 하고 상생한다는 큰 의미 있다.” 그리고 최근 문화재청 보도자료(2023 12 23)에 의하면 2023년 화엄사 입장객 수가 전년(2022) 동기대비 문화재관람료 제도 폐지 후 42.8%로 전국 사찰 중 1위로 증가 하였다. 이로인하여 화엄사 방문객이 증가하면 증가 할 수록 구례지역에 머무는 시간도 증가 될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 머물 수 있는 숙박시설의 청결함, 음식 메뉴의 개발, 친절한 서비스 등이 하루 빨리 개선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수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수도일보 www.soodoilbo.com